Lens Ass'y & Flare
Peponi │ 2019.9 - 2020.6 │ 6m
Lens Ass'y & Flare
Peponi
1. Overview
물류 및 비전 제어를 통한 일반 작업자의 육안 검사를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smart phone camera lens ass'y 대상 외관 & flare 검사 장비를 개발한다.
2. 역할
- 제어 SW 개발 (참여도 : 60%)
- 제어 SW 유지보수 (참여도 : 30%)
3. 제어 구성
- Motion : X, Y, Z, R축
- I/O : Sensor, air cylinder, tower lamp 등
- Vision : Barcode reader
- 기타 : RFID
4. 기술 스택
- 프로그래밍 언어 : C# (WinForms)
- 네트워크 : RS-232C, Ethernet
- 프로토콜 : EtherCAT (아진엑스텍 보드 사용), PIO (SEMI E84)
- 개발환경 : Visual Studio
5. 주요 기능
- 다중, 무한 lot 가동 (Stack type)
- 실시간 검사 및 자동 sorting
- 특정 불량 유형에 대한 분리 sorting
- MES middleware를 통한 주요 고객사 MES 지원
6. 성과
- 제어 시스템 설계
- 옵션에 따른 가변 설비 구동 (인라인, 로컬 가동)
- Barcode reader, RFID 기능 개발을 통한 lot 정보 통합
- 실시간 통계 기능 구현으로 생산 정보 관리 효율성 향상
7. 회고
이전 프로젝트에서의 시행착오를 거쳐 발전한 코드 라이브러리를 적용한 프로젝트이다. 장비 가동에는 절차적, MES 통합에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기법을 도입하게 되었다.
프로젝트 시작 시 로컬 구동 설비로 계획됨에 따라 절차적 프로그래밍 기법을 적용하였고, 이전에 비해 훨씬 깔끔하게 제작이 이루어졌다. 이후 고객사 MES 기능 구현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통신 내용에 따라 설비 가동을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 결과 MES 통신을 객체화하여 프로시저 도중 객체에 기능을 의뢰하는 형식으로 제작하게 되었고, 적절한 중단점 및 연계점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프로젝트 과정에서는 UX
의 부족함을 깨닫게 되었는데, 보완 과정을 거쳐 나타난 태도
의 변화는 현재까지 가장 큰 자산 중의 하나이다.
7.1. UX의 중요성, 그리고 태도의 변화
필드 테스트 과정에서 개선의 필요성을 느낀 항목은 UX
였다. 개발사와 고객사의 설비에 대한 시각 차이를 알게 된 것이 계기가 되었다.
납품 초기 설비에서는 생산 통계 자료로 단위 시간 생산량
에 대한 정보만 제공하고 있었다. 개발사 직원들은 현장에 있는 동안의 검사 결과와 실제 생산 결과를 매칭하는 것이 주요 업무이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장기간 설비를 운용하는 고객사 입장에서는 생산성에 대한 관리를 아래 항목과 같이 실시하고 있었다.
- 단위 시간 생산량
- 일 단위 생산량
- 양품 / 불량품의 비율
당시 공장 작업자들은 설비를 돌며 일일이 일 단위 생산량
, 양품 비율
을 계산하고 있었는데,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이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다. 해당 부분은 간단한 사칙연산과 UI 제공만으로도 해결이 가능하기에 빠른 업데이트 후 곧바로 사용될 수 있었다. 이후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기능을 개선해 나갔고, 설비에 대한 평가와 함께 나의 기분마저 좋아지며 피드백을 통한 긍정적 변화
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 즐거운 경험은 UX, 피드백, 개선
이라는 개발자로서의 주요 가치를 전달해주었다. 또한, 이후로도 사용자의 피드백을 얻고 개선하며 서로에게 긍정적인 경험이 되도록 노력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