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vicon

Footnotes

Peponi10/30/20244m

Markdown
Syntax

1. Introduction

글 중간에 각주를 다는 기능으로 글 구성을 구조화하기 좋다.

각주 호출은 [^name]으로, 내용은 [^name]: description으로 작성한다. ^ 뒤에 따라오는 name 공간에는 공백을 허용하지 않는다. name과는 별개로, 각주는 호출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번호가 부여된다.

각주 내용은 글 마지막에 작성할 필요는 없다. 아무 곳에나 원하는 곳에 작성하면 된다. 단, list, table, code block 등 다른 마크다운 요소 안에 각주가 들어가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NOTE

각주란?

주(註) 또는 각주(영어: footnote 또는 annotation 등)는 본문에 대하는 참조 문헌이나 본문의 낱말, 문장 등의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하는 덧붙이는 글이다. 주는 매우 길어 본문에 기입하기 부적당하거나 본문 내용에 끼워 넣었을 때 문맥의 흐름이 방해되는 경우에 사용되며, 기술하는 내용의 출처를 밝히거나 해당 용어나 내용을 보충 설명하는 데에 사용한다.

각주는 논문을 쓸 때 본문의 어떤 부분의 뜻을 보충하거나 논문 본문의 아래쪽에 따로 단 주석을 말한다. 각주는 본문에서 숫자 또는 기호로 식별하며, 연구 논문에서 일반적으로 각주를 추가하여 본문에서 서술한 사실이나 인용문의 출처를 인용하는 데 사용된다. 각주에는 콘텐츠 각주와 저자권 허가 각주 두가지가 있다. 콘텐츠 각주는 본문의 정보를 보충 설명하여 단순화하고 복잡하고 관련성이 없는 정보는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저작권 허가 각주는 긴 인용문, 연구 규모와 테스트 아이템, 개조된 표와 표의 출처를 제공한다. 각주를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작성자, 연도 및 책의 제목, 전체 페이지 번호를 포함한 전체 인용정보를 추가해야 한다.

출처 : 위키백과

2. Example

MarkdownRender
첫번째 각주[^one]
두번째 각주[^2]
 
긴 각주[^a1]
 
[^one]: 첫 각주
[^2]: 둘째 각주
 
[^a1]: 긴 각주
    각주가 길어져도, 글 하단에 자동으로 추가된다.
    각주 내용에 `코드`삽입과 같이 글자 *Formatting*도 가능하다.

첫번째 각주1
두번째 각주2

긴 각주3

3. 참조 자료

Footnotes

  1. 첫 각주

  2. 둘째 각주

  3. 긴 각주
    각주가 길어져도, 글 하단에 자동으로 추가된다.
    각주 내용에 코드삽입과 같이 글자 Formatting도 가능하다.